GKE 2

[GKE 전환기] Cloud Run에서 GKE로

오늘은 이전에 근무했던 회사에서 진행했던 인프라 전환 프로젝트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운영 중인 서비스의 아키텍처를 Cloud Run (+ Google Tasks)에서 GKE (Google Kubernetes Engine) 기반으로 성공적으로 전환하며 겪었던 문제점과 개선점을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운영 중인 인프라를 변경하는 것은 서비스 중단과 장애 리스크가 큰 작업입니다. 따라서 저희 팀은 철저한 사전 테스트와 점진적인 마이그레이션 전략을 통해 신중하게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인프라 전환을 결심한 이유기존 시스템은 여러 가지 심각한 문제들을 안고 있었습니다.치명적인 비동기 시스템 설계: 대량의 트래픽이 몰릴 때마다 오류가 발생하며 서비스 안정성을 크게 위협했습니다.비효율적인 반자동 배포: 배포 과정..

Infra/GCP 2025.11.03

GKE에서 Outbound IP 고정하기

Google Cloud Platform(GCP)에서 제공하는 Google Kubernetes Engine(GKE)에서 Outbound IP를 고정하는 방법을 적어보겠습니당.우리는 가끔 서비스에 필요한 외부서비스의 API 호출 시 IP등록이 필요하고 등록되지 않은 IP 문제(401 Unauthorized)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된 Outbound IP를 사용해야합니다.물론 일반 vm을 사용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쿠버네티스 환경에서는 노드마다 ip가 다르고 자동 프로비저닝이 되기 때문에 매번 새로운 ip를 등록할수 없어 고정된 ip를 사용해야하고 클러스터에서 고정 outbound ip를 위해서는 여러 방법을 사용해야합니다.이 중에서 제가 해결한 방법인 서브넷(Subnet), Cloud Router, Clou..

Infra/GCP 2025.03.11